버들. 나무. 인생.
녹색평론 156호 본문
녹색평론 156호
녹색평론을 구독한 지 2년이 지났다. 아름아름 도서관에서 읽다가 용기를 내서 2년 구독을 한 지 2년이 지났다. 2년 전과 비교해보면 녹색평론을 통해서 참 많은 것을 배웠고 느꼈다. 게으른 탓에 지난 달 끝날에 2년치 구독 연장을 했다. 녹색평론은 2년치를 구독 신청하면 단행본 1권을 내가 원하는 책으로 보내주는 서비스가 있다. 무슨 책을 선택하든 좋을 것 같다. 이번에는 무위당 선생 관련된 단행본을 선택했다. 2개월 뒤에는 158호와 함께 도착할 것이다.
녹색평론 이번 호에 관심이 간 것은 '공론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우리나라에서 숙의 민주주의의로 첫 번째 시도된 신고리 5, 6호기 공사중단에 관한 건이다. 개인적으로 큰 기대를 가지고 너무나 당연히 공사가 중단될 것이라 예단했던 나는 불의의 일격을 당한 느낌이었다. 아직 녹지않은 미국의 식민지에서 이런 공론조사가 시도된다는 것 자체가 놀라운 일이지만 결과에 낙담이 컷다.
아뭏든 공적 영역에서 의사결정을 이렇듯 숙의 민주주의를 통한다는 것이 아주 멋진 시도이고 많은 박수와 지지를 보내도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이런 견해로 이번 호를 읽으면 참으로 고개가 끄덕여질 것이라 생각된다.
----------------------------------------------------------------------------------------------------
한국의 '촛불혁명'에 대하여 --- 김종철
경제민주화를 말한다 --- 강수돌
비아캄페시아 7차 총회 참가기 --- 김정열
4차 산업혁명과 민주주의 --- 전치형
비서구의 근대화, 그 허망한 승리 --- 판카지 미슈라
'위안부제도'로 본 국가, 전쟁, 남성주의 --- 다나카 토시유키
개인, 시대, 그리고 문학의 증언 --- 정홍수
근대 일본의 대국주의 노선과 과학 --- 한승동
'고용크레딧 거래제도'의 문제점 --- 이건민
공론조사에 대한 이해와 오해 --- 오현철
몽골의 헌법개정과 공론조사 --- 밀렌코 마르티노비치
기본소득과 그 사상가를(8)
마틴 루터 킹의 경제학 --- 마크 엥글러
연재
스승과 제자(10) --- 새로운 세상을 꿈꾸다 --- 전호근
신화 이야기(1) --- 연재를 시작하며 --- 김남일
생태마을과 적정기술
생태마을 네트워크의 출범에 부처 --- 황대권
생태마을과 적정기술 --- 강신호
마을만들기는 농촌재생으로 --- 정기석
내 인생의 책(3)
잡학의 인생살이 --- 김성훈
시
심봉사 팥도너츠 외 1편 --- 이현승
우주의 표정 외 1편 --- 김원경
서평
관료집단지도체제, 시대정신에 맞는가 --- 오현철
《차이나모델 - 중국의 정치지도자들은 왜 유능한가》
변호사, 신부님, 무엇보다도 선생님 --- 문정우
《라틴어 수업》
공동자산, 공화주의의 토대 --- 박태현
《인디언 자치공화국 - 북아메리카 인디언의 어제와 오늘》